- 혜원
식곤증 발생을 설명하는 이론 - 위의 팽창 자극

많이 먹을수록 식곤증이 심해집니다.
만약 과자 몇 개 정도만 먹는다면 식곤증이 거의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.
그러나 식사를 많이 하게 되면 문제가 됩니다. 부교감 신경계는 우리가 식사를 하면서 항상 활성화됩니다. 그러나 우리가 졸립게 될 정도로 활성화되는지는 식사의 양에 달려 있습니다.
식사가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우리가 식사를 했을 때 위가 팽창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. 우리가 많이 먹을수록, 부교감신경은 더 많이 활성화되어 졸음이 오게 됩니다.
식사를 많이 할수록 위는 더 팽창하고, 호르몬의 분비가 많아져서, 결국에는 더 잠이 옵니다.
또한 죽, 스프 등의 유동식이 고형식보다 식곤증을 덜 일으킵니다.
실험에 의하면 같은 양의 수분을 함유한 경우, 유동식이 고형식보다 졸음을 덜 유발합니다.
조회 0회